김대건 안드레아 성인






조선 땅에 자신의 피를 봉헌하다

김대건 안드레아(1821~1846년) 신부는 지금의 당진인 충남 내포 솔뫼에서 태어났다. 그는 증조부부터 할아버지, 아버지에 이르기까지 대대로 순교한 집안 출신이었는데,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다.

1831년 조선교구가 설정되고 나서 파리 외방 전교회는 방인 성직자를 양성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 방침에 따라 피에르 모방 신부는 김대건과 최양업, 최방제를 신학생으로 선발하여 그들을 마카오 신학교에 보냈다. 소년 김대건은 그 때 이미 "앞으로 조선 교회를 위해 몸 바치겠다."라는 굳은 의지를 드러냈다.

김 신부는 우여곡절 끝에 1845년 8월17일, 만 24세 떄 조선교구 제3대 교구장이던 페레올 주교에 의해 상하이 푸동 지역의 금가항(金家港)에서 사제로 서품을 받았다. 일주일 뒤 조선인 첫 사제가 봉헌하는 첫 미사는 다블뤼 신부가 보좌를 했는데 집전 사제인 김대건 신부, 그리고 그와 미사를 드렸던 다블뤼 신부 모두 훗날 조선 땅에서 자신의 피를 봉헌하고 삶을 마감한다.

1845년 10월, 김대건 신부는 페레올 주교, 다블뤼 신부와 함께 배편으로 강경 나바위 교우촌으로 입국했다. 그들은 한양을 중심으로 수원과 용인 일대에서 비밀스러웠지만 열정적인 사목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1846년 6월, 김대건 신부는 만주에 머물고 있던 메스트로 신부의 입국을 돕기 위해 서해안 길을 개척하다가 백령도 근처 순위도에서 체포되었다. 그는 곧 해주 감영으로 압송되어 심문을 받다가 한양으로 이송되었다.

김대건 신부는 "나는 광둥성 마카오에서 자랐으며, 천주교인입니다. 호기심과 내 종교를 전파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이곳에 오게 되었습니다."라고 자신의 신원을 알렸으나 교회나 다른 신자들에게 해가 갈 만한 이야기는 하지 않았고, 이 때문에 모진 고문을 받았다. 일찍이 서양 학문을 익히고 라틴어와 프랑스어에 능통했던 김대건 신부의 재능을 알아본 헌종 임금은 배교하면 그를 조정에서 중히 쓰겠다고 회유했지만 김대건 신부는 죽음을 간청하였다. 결국 그는 새남터에서 참수되었는데, 참수되기 전 김대건 신부는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

"나는 이제 마지막 시간을 맞이하였으니, 여러분은 내 말을 똑똑히 들으십시오. 내가 외국인들과 교섭을 한 것은 내 종교를 위해서였고, 내 천주를 위해서였습니다. 나는 천주를 위해 죽는 것입니다. 영원한 생명이 내게 시작되려고 합니다. 여러분이 죽은 뒤에 행복하기를 원한다면, 천주교를 믿으십시요. 천주께서는 당신을 무시한 자들에게는 영원한 벌을 주시는 까닭입니다."

김대건 신부는 불과 만 25세의 나이로 순교했다. 그리고 그가 사제로 산 시간도 단지 13개월에 불과하다. 그중 2개월은 조선 입국을 위해 배 위에서, 4개월은 감옥에서 온갖 고초에 시달렸다. 따라서 그가 목자로서 신자들과 함께한 시간은 겨우 7개월 남짓이다. 그러나 사제로서 그의 삶은 강렬했다. 그리고 그는 순교를 당당히 받아들임으로써 한국 가톨릭교회의 반석이 되었다.



피로 세운 교회의 반석

한국 최초의 사제가 순교했다는 점은 우리에게 큰 의미가 있다. 김대건 신부는 순교가 스승이자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본받고 따르는 일이라고 굳게 믿었다. 순교가 하느님 앞에 참으로 영광스럽고 가치 있는 일임을 굳게 믿은 것이다. 그는 "우리 주 예수 세상에 내려, 친히 무수한 고난을 받으시고 괴로운 데로조차 성교회를 세우시고 고난 중에 자라게 하셨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박해의 고통을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더욱 가까이 본받고자 하였다.

게다가 그는 민중과 민족에 대한 사랑 위에 신앙의  가치를 더한 인물이었다. 따라서 그를 조선이라는 나라를 개혁하고자 했던 시대의 예언직을 수행했던 사제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는 비록 사목 활동을 얼마 하지 못했지만 조선 백성에 대한 선교 의지와 열정으로 불타고 있었다. 그는 해외에서 조선으로 돌아갈 날만을 두 손 모아 기다렸고, 조선 신자들이 목자 없는 어린 양떼처럼 방황하는 것을 매우 안타까워했다. 그는 인간의 삶의 의미와 목적이 하느님의 섭리 안에 있다는 것을 굳게 믿었으며, 온갖 난관에도 불구하고 하느님께서 우리를 보호해 주시고 길을 안배해 주시리라고 믿었다. 그래서 어렵고 험한 길이지만 권력에 대항하여 새로운 길을 여는 개척자로서의 삶을 살았다.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는 1857년(철종 8년)에 하느님의 종으로 선포되었고, 1925년에 복자품에 올랐다가, 1984년에 한국을 방문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에 의해서 성인품에 올랐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순교 영성의 회복

순교자는 어떤 분들인가?

종말론적 영성과 강생의 영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