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023의 게시물 표시

순교 영성의 회복

이미지
  항상 새로워져야 하는 교회 세계 교회사나 한국 교회사를 볼 때 그리스도의 모범을 따르는 순교자의 삶은 분명 특별한 은총이다. 순교 자체가 주님의 현존을 증거하는 위대한 일이기 떄문이다. 103위 성인과 124위 복자를 비롯한 한국의 많은 순교자들은 봉건 사회의 질곡 속에서 주님의 현존을 증거하는 모범을 보였다. 그들은 성직자 없이 한국 천주교회를 세웠다. 그리고 서로를 교우라 부르며 계급 제도를 뛰어 넘어 교우애를 나눴다. 신분 질서가 확고했던 유교 사회에서 일어나기 힘든 일이었다. 게다가 신처럼 떠받들던 신주도 치우고, 언문이라며 경시하던 한글로 교리서도 만들었다. 또한 박해 시대를 산 한국의 신앙인들은 일생을 두고 언제든지 순교할 수 있는 준비를 하고 있었다. 인간의 몸과 마음은 스스로 단련하지 않으면 언제든 꺾일 수 있다. 폭력과 억압에 언제든 좌절할 수 있는 게 인간이다. 순교자들은 폭력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는 신앙을 그들의 일상에서 준비하였다. 순교를 각오하지 않고서는 그들의 신앙이 불가능했기에 그들을 고문하던 관리들 앞에서도 당당하고 태연할 수 있었다. 한마디로 순교자들은 연약한 육체의 한계를 뛰어넘어 무한한 자유를 꿈뀄다. 앞에서 본 바와 같이 '진산 사건'으로 알려진 윤지충의 폐제분주 사건은 유교를 근간으로 하는 조선의 양반 사회에 커다란 충격을 던졌다. 신주를 불사른 행동은 당시 지배 질서에 대한 저항과 조선 땅에 세울 새로운 세상, 새로운 인간상을 위한 희생을 의미했다. 또 안중근 의사는 사형을 앞두고 여순 감옥을 찾아온 동생들에게 "사람은 반드시 한 번 죽는다. 그래서 죽음이 두렵지 않다. 인생은 꿈과 같고, 죽음은 영원한 것이다." 라며 자신의 생사관을 드러냈다. 안중근 의사의 평소 삶과 동양 평화를 저해하는 이토 히로부미를 제거하던 당찬 용기는 다름 아닌 그의 자유롭고 초연한 신앙과 인생관에 있었다. 순교자들이 이렇게 자기를 투신할 수 있었던 가장 큰 까닭은 그들은 하느님 나라를 현재로 살아 나갔기

믿음을 실천하는 삶으로

이미지
자발적이며 헌신적인 교회 공동체 박해 시대에 성사 생활을 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우리 신앙 선조들의 신앙은 성사를 받으려는 열망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성직자들의 공소 순방 소식을 들으면 신자들은 가족을 이끌고서, 아무리 먼 곳일지라도, 어떠한 어려움도 마다하지 않고 그곳을 찾았다. 그리고 그렇게 만난 신자들과 성직자들은 더할 나위 없는 기쁨을 맞이할 수 있었다. 깊은 산골에 숨어 살던 교우촌 신자들이 성사를 받기 위해 하루에 백여 리를 걷는 것은 흔한 일이었다. 그런데 순교자의 후손인 우리들은 주일 미사 뺴먹은 죄와 이 밖에 알아내지 못한 죄를 고해한 뒤, 다른 죄는 없다고 고백하면서 위선적인 신앙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다. 회개 없는 삶에는 영성도 없다. 우리 선조들은 교우촌에서 아침 · 저녁 기도를 함께 모여 바치면서 성령의 은총을 청했다. 비록 성직자를 만나기 어려웠고 성사에 참여하는 것이 쉽지 않았지만, 자발적이고 헌신적으로 신앙생활을 하여 교우촌이 성령 안에 있는 공동체임을 하루하루 확인했다. 브라질의 대표적 해방 신학자인 레오나르도 보프는 '성령의 성사로서의 교회'를 기초 공동체'와 접목시켰다. 해방 신학에서 '기초 공동체'란 그리스도 강생의 신비에 참여하는 가장 중요한 실천적 범주로, 제도 교회가 가장 낮은 차원에서 가난한 이들을 위하는 모습이 아니라, 말 그대로 '가난한 교회' 자체가 되고자 하는 복음 공동체를 뜻한다. 보프는 이 기초 공동체에서 성령의 성사인 교회가 구체적으로 완성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교회는 "자발성과 창의성이 그토록 활발하게 꽃피고 이웃을 자애롭고 정성스럽게 돌보는 모성적 태도가 피어나는 곳'이며, "모든 생명과 구원의 영성적 원리의 원천인 성령"이 살아 움직이는 카리스마 공동체다. 시대와 역사 그리고 문화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한국 초대 교회의 공동체를 지탱하던 신앙생활에도 보프가 말하는 성령의 성사로서의 교회를 이루는 자발성